전체 글 148

[JPA] JPQL (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 완벽 가이드

JPQL (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 완벽 가이드JPQL(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은 JPA(Java Persistence API)에서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쿼리 언어로, SQL과 유사하지만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 아닌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작동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JPQL은 데이터베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객체 지향 쿼리로, JPA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와 독립적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코드를 작성하는 데 필수적이다.JPQL 기본 문법JPQL은 기본적으로 SQL과 문법이 유사하지만, 테이블 대신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조회를 수행한다.// JPQL 예시String jpql = "SELECT m FROM Member..

[JPA] JPA 기본 사용법

JPA 기본 사용법1. JPA란 무엇인가?JPA(Java Persistence API)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입니다.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을 통해 객체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매핑하여 객체 지향적인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JPA의 주요 구현체로는 Hibernate, EclipseLink 등이 있습니다.주요 용어Entity: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매핑되는 클래스EntityManager: 엔티티를 관리하고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Persistence Context: 엔티티의 상태를 관리하는 공간으로, 영속성 컨텍스트라고도 함2. JPA 설정JPA를 사용하기 ..

메시지 큐(Message Queue)

메시지 큐(Message Queue)는 메시지의 무손실(durability)을 보장하며, 프로세스 간 비동기 통신(asynchronous communication)을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다.  메시지 큐는 데이터가 생산자(Producer)에서 소비자(Consumer)로 안전하게 전달될 때까지 중간 버퍼 역할을 수행한다. 메시지는 큐에 순서대로 저장되며, 소비자가 큐에서 메시지를 꺼내 처리할 때까지 유지된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시스템의 비동기 처리와 내결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메시지 큐는 메시지의 버퍼 역할을 하며,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 간의 비동기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기본적으로 생산자가 메시지를 큐에 발행(publish)하고, 큐에 연결된 소비자가 ..

캐시(Cache) 전략

회사에서 대규모 데이터 조회와 성능 최적화가 중요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캐시를 도입한 경험이 있습니다. 당시,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을 줄이고 캐시 계층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자주 변경되지 않는 데이터나 반복적인 연산 결과를 캐싱함으로써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고 서버 부하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이 글에서는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캐시 계층의 개념과 활용 방법, 그리고 캐시 사용 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상세히 다루고자 합니다. 캐시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과 확장성을 개선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1. 캐시 계층(Cache Layer) 설명캐시(Cache)는 데이터 조회 속도를 향상시키..

운영 2025.01.11

[Network] 데이터베이스 다중화: 확장성과 안정성을 위한 설계

데이터베이스 다중화: 확장성과 안정성을 위한 설계실무에서 시스템 장애 상황을 경험하면서 다양한 장애 대응 방안을 적용해 본 적이 있습니다. 당시 장애 대응 중 하나로 데이터베이스 다중화를 진행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시스템 안정성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 이번 경험을 계기로 데이터베이스 다중화에 대해 더 깊이 학습하게 되었으며,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여 블로그 포스팅 형식으로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다중화의 개념과 이를 실무에 적용할 때의 장점, 그리고 장애 상황에서의 대처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데이터베이스 다중화란?데이터베이스 다중화(Database Replication)는 데이터베이스의 동일한 복제본을 여러 서버에 저장하여 시스템의 성능, 가용성,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

Network 2025.01.11

[Network] 시스템 확장을 위한 로드밸런서 설계: 부하 분산과 고가용성 확보

시스템 확장을 위한 로드밸런서 설계: 부하 분산과 고가용성 확보사용자 수가 급증함에 따라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시스템이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확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실무에서 트래픽이 몰리고 서버가 로드밸런서 구조로 설계되지 않아 무중단 서비스 배포가 불가능했던 장애를 경험한 적이 있습니다. 당시 장애 대응을 위해 여러 조치를 했고, 그중에서는 로드밸런서 구조로 아키텍처를 재설계하여 무중단 서비스 배포가 가능해졌습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시스템 확장성을 고려한 로드밸런서 설계에 대해 학습하게 되었고, 이를 블로그 형태로 정리하고자 합니다.로드밸런서란?로드밸런서는 부하 분산 집합에 속한 웹 서버들에게 트래픽 부하를 고르게 분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는 로드밸런서의 **공개 I..

Network 2025.01.11

[Network]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수직적 확장과 수평적 확장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수직적 확장과 수평적 확장실무에서 서버 장애로 인해 응답 속도가 느려지고 서비스가 중단되는 문제를 경험한 적이 있습니다. 당시 여러 장애 대응 방안을 검토한 결과, 일시적으로 서버의 하드웨어 자원을 증설하는 **스케일 업(Scale-Up)**을 진행하여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규모 확장성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수직적 확장과 수평적 확장에 대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기술 블로그 형식으로 공유하고자 합니다.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의 성능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규모 확장성(Scalability)을 고려한 설계가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주요 확장 방법인 **수직적 확장(Vertical Scalin..

Network 2025.01.11

[Network] 웹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앱의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구조 개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클라이언트 구현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비즈니스 로직과 데이터 저장을 처리하기 위해 서버 구현용 언어를 사용합니다. 자바(Java)나 코틀린(Kotlin) 같은 언어가 서버 사이드 개발에 적합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프레젠테이션 계층에서는 HTML, CSS, JavaScript 등을 사용합니다. React와 같은 프레임워크는 이러한 클라이언트 측 개발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줍니다.비즈니스 로직과 서버 구현 언어자바(Java): 강력한 객체지향 언어로, 대규모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코틀린(Kotlin): 자바와 상호 운용이 가능하며, 현대적인 문법으로 생산성을 높여줍니다.Spring Boot: 자바 기반의 프레임워크로, RESTful API 개..

Network 2025.01.11

[도서] Clean Code, by Robert C. Martin (Uncle Bob)

📚 Clean Code 개요Robert C. Martin(일명 Uncle Bob)의 **"Clean Code: A Handbook of Agile Software Craftsmanship"**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깨끗하고 유지보수 가능한 코드 작성 방법을 제시하는 필독서입니다. 이 책은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원칙, 사례, 그리고 실전 코드를 통해 개발자들이 실천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합니다.📚 "Clean Code" by Robert C. Martin (Uncle Bob)**"Clean Code: A Handbook of Agile Software Craftsmanship"**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깨끗하고 유지보수 가능한 코드(Clean Code)**를 작성하는 ..

도서 2025.01.07

[Kotlin 기초] 코틀린 문법 기초

Kotlin 문법 기초 가이드코틀린(Kotlin)은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간결한 문법과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여 Java의 대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JetBrains에서 개발한 코틀린은 Android 개발뿐만 아니라 백엔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본 문서에서는 코틀린의 핵심 문법을 실무 중심으로 정리하고, 예제 코드를 통해 실용적인 활용 방법을 소개합니다.1. 변수 선언 (Variables)코틀린은 val과 var 키워드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합니다.val : 불변 변수 (Immutable).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var : 가변 변수 (Mutable).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fun main() { val name: String = "임나현" // 불..

[CI/CD] CI/CD 전략 및 자동화

CI/CD 전략 및 자동화1. CI/CD 개념과 중요성CI/CD(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ployment)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핵심 자동화 전략입니다. CI는 개발자들이 자주 코드 변경 사항을 통합하고, 이러한 변경 사항을 자동화된 빌드 및 테스트 프로세스를 통해 검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CD는 검증된 코드를 자동으로 배포 환경에 배포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합니다.이러한 자동화 전략을 통해 개발팀은 빠르게 변경 사항을 배포하고, 피드백 루프를 단축하여 더 나은 품질의 소프트웨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1.1 CI/CD의 주요 목표코드 변경 사항의 빠른 통합 및 검증자동화된 테스트를 통한 품질 보증배포 속도 및 안정성 향상반복..

[CI/CD] Jenkins 파이프라인 설정

Jenkins 파이프라인 설정 가이드1. Jenkins Pipeline 개요Jenkins Pipeline은 CI/CD(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ployment)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기 위해 Jenkins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코드 빌드, 테스트, 배포까지 모든 단계를 코드로 정의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기존의 Freestyle Job 방식과 달리 파이프라인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지속적인 통합과 배포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1.1 Pipeline의 종류Declarative Pipeline: 선언형 구문을 사용하여 간결하고 가독성이 높은 파이프라인을 정의합니다.Scripted Pipeline: Groovy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복잡한 논리 처리가 필요한 파이프라인..

[Java] 멀티스레딩 및 동시성

멀티스레딩과 동시성 프로그래밍현대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최적화 및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해 멀티스레딩과 동시성 프로그래밍은 필수적인 개념이 되었다. 특히, 시스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높은 처리량(Throughput)을 유지하며, 응답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이 두 가지 개념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글에서는 멀티스레딩과 동시성의 개념, 관련 용어, 그리고 실무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다루어 보겠다.1. 멀티스레딩 (Multithreading)1.1 멀티스레딩이란?멀티스레딩은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여러 개의 스레드를 생성하여 병렬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각 스레드는 독립적인 실행 경로를 가지며, 동일한 메모리 공간을 공유한다. 이를 통해 CPU 활용률을 극대..

[Java] 디자인 패턴?

실무에서 활용하는 디자인 패턴디자인 패턴은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검증된 솔루션입니다. Java, Spring Boot, SQL을 활용한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적절한 디자인 패턴을 적용함으로써 코드의 유지보수성, 가독성, 확장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무에서 사용한 주요 디자인 패턴과 그 실질적인 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1. 생성 패턴 (Creational Patterns)생성 패턴은 객체 생성 메커니즘에 중점을 두며, 객체 생성 과정을 최적화하고 시스템을 유연하고 느슨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합니다.a. 싱글톤 패턴 (Singleton Pattern)목적: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하고 이를 전역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실무 적용..

[Java] 자바 최신 문법 (Java 17+)

Java 17+ 최신 문법 정리 및 실무 활용Java는 꾸준한 업데이트를 통해 개발자들이 생산성과 코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최신 문법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Java 17 이후 LTS(Long-Term Support) 릴리스에서는 언어 문법 개선, JVM 최적화, 새로운 API 도입 등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Java 17 이상의 최신 문법을 중심으로 주요 기능을 정리하고, 실무에서의 활용 사례를 다룹니다.1. 패턴 매칭 (Pattern Matching)1.1 instanceof 패턴 매칭Java 16에서 도입된 instanceof 패턴 매칭은 Java 17에서 더욱 안정화되었습니다. 이 기능을 통해 타입 검사와 캐스팅을 하나의 구문으로 통합할 수 있습니다.기존 코드:if..

[Kotlin] 코루틴 (Coroutines) 활용법

Kotlin Coroutines 활용법코틀린(Kotlin)의 코루틴(Coroutines)은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보다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이다. 실무에서 코루틴을 활용하면 I/O 작업, 네트워크 통신, 대용량 데이터 처리 등 다양한 비동기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코루틴의 기본 개념부터 실무에서의 활용 사례까지 다루며, 고급 기법을 포함한 실질적인 사용법을 공유하고자 한다.1. 코루틴의 기본 개념코루틴은 경량 스레드(lightweight thread)라고도 불리며, 스레드와 달리 컨텍스트 스위칭의 부하가 적고, 더 많은 비동기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코루틴은 다음과 같은 핵심 개념을 바탕으로 동작한다.Suspend Function: 일시 중단(..

[운영] Apache Tomcat 설정 및 관리

Apache Tomcat 설정 및 관리 가이드Apache Tomcat은 Jav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서블릿 컨테이너 중 하나로, 안정성, 성능 및 확장성이 뛰어난 오픈 소스 프로젝트입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Apache Tomcat의 설정 및 관리에 대해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주요 항목을 다루고자 합니다. 특히, 서버 최적화, 보안 설정, 클러스터링, 그리고 관리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팁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1. Apache Tomcat 아키텍처 개요Apache Tomcat은 주요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설정 및 관리의 첫걸음입니다.Catalina: 서블릿 컨테이너의 핵심으로, HTTP 요청을 처리하고 서블릿을 실행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Co..

[아키텍처] 시스템 설계 (System Design) 개요

시스템 설계 (System Design) 개요시스템 설계(System Design)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로, 애플리케이션이 어떻게 동작하고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정의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대규모 시스템 개발 시 특히 중요하며, 요구사항 분석부터 아키텍처 설계, 데이터 모델링, API 설계, 확장성(Scalability)과 가용성(Availability)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 실무에서는 시스템 설계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유지보수와 확장성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본 글에서는 시스템 설계의 핵심 개념과 주요 고려사항들을 정리하고,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중요한 설계 패턴과 트레이드오프(Trade-offs)에 대해 설명한다.1. 시스템 설계의 핵심 ..

아키텍처 2025.01.05

[아키텍처] 도메인 주도 설계(DDD)

도메인 주도 설계(DDD) 개요1. 도메인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도메인"은 소프트웨어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영역이나 비즈니스 영역을 의미합니다. 도메인은 특정 비즈니스의 핵심 개념, 규칙, 프로세스를 포함합니다.예를 들어, 은행 시스템에서는 계좌, 고객, 거래와 같은 개념이 도메인에 해당하며,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비즈니스 규칙이 포함됩니다. 도메인에 대한 이해는 비즈니스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 필수적입니다.도메인의 주요 특징:비즈니스 중심: 실제 비즈니스 문제와 요구사항에 중점을 둡니다.고유한 용어: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서 필수적인 특정 용어와 정의를 포함합니다.핵심 로직: 비즈니스 규칙과 로직이 도메인의 핵심에 위치하며 소프트웨어에 반영되어야 합니다.2. 도메인 ..

[DB] Index: 중요성, 종류, 최적화 방법

데이터베이스 인덱스: 중요성, 종류, 그리고 최적화 방법데이터베이스 인덱스란?데이터베이스 인덱스는 데이터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이터 구조입니다. 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가 특정 행을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도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인덱스를 사용하면 저장 공간이 더 필요하고, 쓰기 작업이 느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인덱스가 중요한 이유인덱스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쿼리 실행 시간을 크게 줄여줍니다. 인덱스가 없으면 데이터베이스는 전체 테이블 스캔을 수행하여 각 행을 검사해야 합니다. 이 경우 시간 복잡도는 **O(N)**입니다. 하지만 인덱스를 사용하면 **O(log N)**의 시간 복잡도로 훨씬 빠르게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customer 테이블에서 아래와 같은 MySQL..

[DB] Replication이란?

📚 Replication이란?✅ Replication(복제)의 정의Replication(레플리케이션)은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과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을 보장하기 위해 기존 DB 서버의 데이터를 다른 서버로 복제(Replicate) 하는 기술입니다.DB 서버가 장애 상황에 빠졌을 때, **복제된 보조 서버(Secondary Server)**가 요청을 처리하도록 하여 서비스 중단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서비스는 **Failover(장애 조치)**를 통해 연속성을 유지하게 됩니다.🧩 Replication을 도입하는 이유Java Spring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Article이라는 테이블을 사용한다고 가정해봅시다. ..

데이터베이스 2025.01.05

[DB] Replication, 데이터베이스 복제와 고가용성 개념 정리

Replication이란? 데이터베이스 복제와 고가용성 개념 정리Replication(복제)은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데이터베이스(DB)를 여러 대의 DB 서버에 동일하게 복제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는 시스템 장애나 서버 다운타임이 발생하더라도 서비스 중단 없이 정상적인 동작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Replication의 필요성예를 들어, Java Spring 애플리케이션에서 Article이라는 테이블에 대해 읽기/쓰기(read/write) 요청이 DB 서버로 전달된다고 가정하자. 이때 DB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해당 테이블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Replication을 통해 DB 서버를 복제 서버로 구성..

데이터베이스 2025.01.05

[DB] Sharding과 Horizontal Partitioning의 차이점 및 개념 정리

Sharding과 Horizontal Partitioning의 차이점 및 개념 정리Sharding이란?Sharding은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부하 분산을 목적으로 데이터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DB 서버)**에 분할 저장하는 기술이다. 이는 시스템의 **확장성(scalability)**을 확보하고,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Sharding은 기본적으로 **수평 파티셔닝(horizontal partitioning)**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주요 차이점은 각 파티션(partition)이 서로 다른 DB 서버에 저장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보다 더 효율적인 ..

데이터베이스 2025.01.05

[DB] 파티셔닝 종류 및 설명 (partitioning)

데이터베이스 파티셔닝 종류 및 설명파티셔닝(Partitioning)은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 조회 및 쓰기 작업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테이블을 더 작은 단위로 나누는 기술이다. 파티셔닝은 크게 **버티컬 파티셔닝(Vertical Partitioning)**과 **호리즌탈 파티셔닝(Horizontal Partitioning)**으로 나뉜다.1. 버티컬 파티셔닝 (Vertical Partitioning)버티컬 파티셔닝은 **컬럼(column)**을 기준으로 테이블을 분할하는 방식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데이터베이스의 정규화(Normalization) 개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1-1. 정규화(Normalization) 개념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중복된 데이터 저장을 방지하고..

데이터베이스 2025.01.05

[들어가며, Kotlin 기초] Java 백엔드 개발자의 코틀린 입문.

왜 Java 개발자가 Kotlin을 배워야 할까?Java 개발자로서 어느 정도 익숙해졌을 때, 자연스럽게 다른 언어에도 관심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그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언어가 바로 Kotlin입니다. 처음 Kotlin을 접했을 때, Java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웠고, 더 나아가 이 언어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이 제 개발 경험을 크게 향상시켜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첫 번째 이유는, Kotlin의 간결한 문법입니다. Java는 강력한 언어이지만 때로는 코드가 장황해질 수 있습니다. 반면 Kotlin은 기본적인 문법 자체가 훨씬 간결하고 깔끔합니다. 코드를 작성하면서 자연스럽게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boilerplate 코드가 줄어들고, 가독성도 크게 향상됩니다. 예를 들어, ..

JPA vs MyBatis: ORM 선택 기준과 차이점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상호작용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자들은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기술을 사용합니다. ORM은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간의 매핑을 지원하여 SQL 작성 없이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할 수 있게 합니다. Java 및 Kotlin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는 두 가지 ORM 기술은 **JPA(Java Persistence API)**와 MyBatis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JPA와 MyBatis의 개념, 차이점, 각각의 장단점,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JPA란?**JPA(Java Persistence API)**는 Java EE에서 제공하는 표준 ORM 인터페이스입니다. 객체 지향..

RESTful API 설계 원칙 및 베스트 프랙티스 (best practice)

RESTful API는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요소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2000년 로이 필딩(Roy Fielding)이 소개한 개념으로, 리소스를 명확히 정의하고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STful API의 설계 원칙과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스트 프랙티스를 자세히 설명합니다.1. REST의 6가지 주요 원칙REST 아키텍처는 다음 6가지 원칙을 따릅니다:클라이언트-서버 구조 (Client-Server Architecture)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해야 합니다. 클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모놀리식 아키텍처 비교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핵심 결정 요소 중 하나입니다. 적절한 아키텍처 선택은 개발 속도, 유지보수성, 확장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Monolithic 와 MicroService Architecture가 많이 논의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 가지 아키텍처의 차이점, 장단점, 사용 사례 등을 비교해보겠습니다.1. 모놀리식 아키텍처란?모놀리식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기능과 서비스가 하나의 코드베이스 안에서 통합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즉, 모든 기능이 하나의 큰 애플리케이션으로 배포되고 운영됩니다. 전통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식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며, 아래와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집니다:UI (프론트엔드)비즈니스 로직 (서비스 레이어)데이터베이스 계층모놀리식 애플리..

아키텍처 2024.09.20

[네트워크 프로토콜] TCP/IP 프로토콜의 작동 원리와 최적화 전략

TCP/IP는 인터넷과 대부분의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핵심 프로토콜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거의 모든 디지털 통신이 TCP/IP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프로토콜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최적화 전략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CP/IP 프로토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을 깊이 있게 설명하고, 그 외 중요한 프로토콜도 간략하게 소개하겠습니다.1. TCP/IP 프로토콜이란?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TCP와 IP는 각각의 기능을 통해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며, 두 프로토콜의 결합은 인터넷 통신의 근간을 형성합니다.TC..

Network 2024.09.20

[네트워크 아키텍처]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란 무엇인가?

네트워크 관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복잡해졌습니다. 전통적인 네트워크 인프라는 하드웨어 중심으로 설계되었으며, 하드웨어를 변경해야만 네트워크 구성을 변경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복잡성을 해결하고자 등장한 것이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입니다. SDN은 네트워크 관리의 유연성을 극대화하고, 네트워크를 소프트웨어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혁신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DN이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이를 도입했을 때의 이점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이란?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은 네트워크의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데이터 평면(data plane)을..

Network 2024.09.20